스팟라이트를 넘어선 강력한 생산성 도구, Raycast를 소개합니다.Raycast는 macOS를 위한 생산성 도구입니다.기존의 스팟라이트 기능을 확장하여, 앱 실행, 파일 검색, 시스템 제어, 사용자 정의 확장 기능 등을 통해 맥 사용 환경을 개선할 수 있어요.Raycast, 장점 및 단점👍 장점생산성 향상: 단축키, 빠른 실행, 자동화 기능을 통해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확장성: 다양한 확장 기능(Extensions)을 통해 Raycast의 기능을 무한히 확장 가능직관적인 인터페이스: 깔끔하고 직관적인 디자인으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무료: 기본 기능을 무료로 제공하여 누구나 부담 없이 사용 가능👎 단점macOS 전용: Windows 운영체제는 지원 불가유료 기능 제한: 팀 협업, AI 기..
1. 랭체인이란?랭체인은 여러 인공지능 언어 모델을 연결해서 복잡한 일을 쉽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챗GPT와 같은 언어 모델을 더 똑똑하게 활용하여 챗봇이나 자동 글 요약 시스템 등을 개발하는데 쓸 수 있어요랭체인은 특히 다음과 같은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줘요.작업을 순서대로 연결하는 '체인(Chain)'스스로 일을 처리하는 '에이전트(Agent)'대화를 기억하고 활용하는 '메모리(Memory)'2. 랭체인의 핵심 개념체인(Chain): 여러 작업을 연결하여 하나의 흐름을 만드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요약한 뒤 다시 전달하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에이전트(Agent): 목표를 이루기 위해 외부 도구나 API를 사용하여 스스로 행..

지라(Jira)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데 많이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특히 협업이 중요한 상황에서 효과적인 업무 관리는 프로젝트 성공의 핵심 요소라고 할 수 있어요. 지라에서 작업의 기본 단위는 '태스크'인데요, 이 태스크를 얼마나 잘 작성하느냐에 따라 팀의 효율과 협업 방식이 크게 달라질 수 있어요.이번 포스팅에서는 제가 회사에서 업무를 하면서 생각한 효율적인 지라 태스크 작성 방법들을 정리했습니다. 특히 팀워크를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춰 실질적인 팁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개발자, 디자이너, PM 모두에게 도움이 될 내용이니 함께 살펴보시죠!태스크를 잘 작성해야 하는 이유태스크는 지라에서 작업의 기본 단위로 사용되며, 태스크를 잘 만들면 프로젝트를 더욱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리더의 핵심적인 활동 중의 하나는 조직원들과의 1:1 미팅입니다. 1:1 미팅은 아무리 연습을 해도 쉽지 않더라구요 ㅜㅜ 앞으로 조금이라도 1:1 미팅을 잘 진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준비하면 좋을 것들을 생각해봤습니다. 1:1 미팅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을 준비해야 좋을까요? 1:1 미팅을 하기 전에 준비해야 할 사항들과 미팅 중에 유의해야 할 점들입니다. 준비 미팅 목적과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미팅 전 또는 미팅 초반에 공유합니다. 사전에 미팅 목적을 공유하지 않으면 상대방은 준비되지 않은 대답을 즉흥적으로 해야하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습니다. 미팅에 필요한 자료를 미리 준비하고, 공유 가능한 형태로 준비합니다. 상대방의 배경과 이전 미팅 내용을 사전에 파악하고, 필요한 정보를 미..

아직 React에 익숙하지 않아서 어떤 UI Framework가 괜찮은지 잘 몰라서 인터넷에서 검색 후 가장 대중적인 프레임워크를 선택하기로 했다. https://aglowiditsolutions.com/blog/best-react-ui-framework/ Best React UI Framework You Should Know In 2023 In Search of the best React UI framework - Get an idea of the top Component Framework for React, their features & popularity status. aglowiditsolutions.com 보다보니까 Material UI를 발견! 나는 구글 빠기 때문에 Material UI로 간..

git을 설치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linux나 mac의 경우에는 간단한 명령어 입력 한번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windows같은 경우에는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고 더블클릭해서 설치가 가능하다. 여기서는 간단하게 명령어를 안내하고 자세한 내용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자신의 리눅스 배포판이 뭔지 아는 경우라면 패키지 관리도구를 이용해서 설치하고, 만약에 모른다면 다음 두 명령어 중 하나를 입력한다. (되기만 하면 되는거잖아...) $ sudo dnf install git-all $ sudo apt install git-all https://git-scm.com/book/ko/v2/%EC%8B%9C%EC%9E%91%ED%95%98%EA%B8%B0-Git-%EC%84%A4%EC%B9%98 Gi..
- Total
- Today
- Yesterday
- github
- jekyll
- maven
- docker
- 1on1 meeting
- Blog
- React
- 이슈 트래킹
- ncp
- github blog
- 자격증
- Linux
- Python
- AWS
- MS Ignite 2019
- spring
- Java
- Git
- VIM
- 개발 생산성
- langchain
- AZURE
- VS Code
- Cloud
- 챗GPT
- node설치
- Solutions Architect
- 랭체인
- naver
- vscod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